그리고 이 두 현상의 사이에서 나를 환영하는 것은 기다림.
너무나도 복잡한게 내 마음이다.
혼자 있을 때는 혼자 있어서 문제이고
함께 있을 때는 함께 있어서 문제이다.
그리고 너무나도 긴 다리처럼 느껴지는 기다림.
여기서 기다림이 중요하다.
기다림이란 침묵이고 경첨이다.
대화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라고나 할까.
무른 익은 과일이 맛있드시 침묵과 경청을 바탕으로 한 대화만이 진정한 대화이다.
여기서 기다릴 때 침묵하고 경청을 해야지
경솔하게 말을 하거나 고집부리면서 귀를 닫아 버리며
고독과 갈등은 중폭된다.
혼자 있는 것이 외롭다고
함께 있는 것이 힘들다고
숨어버리거나 도망치지 말자.
어떤 상황이던지 그 상황은 곧 지나가는 것을 명심하고
인내하며 정직하게 받아드리자.
비겁하거나 비굴한 방법으로 그 순간을 어떻게 대충 피하거나 모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길은 빙글빙글 도는 회전목마와 같아 나를 그 자리로 다시 옮겨 놓을 것이다.
가장 느린 것 처럼 보이는 길이 가장 빠른 길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돌아가는 길이 올바른 길이다.
고독과 갈등으로 부터 자유로워 지는 길은 기다림뿐이다.
기다림이란 내 자신과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고 공간이다.
기다릴 때 내 자신과 대화하지 않으면 혼자 있는 것이 고독이 되고 함께 하는 것이 갈등이 된다.
기다릴 때 내 자신과 대화해야 혼자 있는 것이
나의 내면을 돌아 봄으로써 내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기다릴 때 내 자신과 대화해야 함께 하는 것이
내가 사랑함으로써 이웃들을 통해 나의 내면을 돌아 볼수 있는 기회가 된다.
To wait is to reflect; to reflect is to love; to wait is to love.
사랑이 없기에 혼자 있는 것이 외롭고 사랑이 없기에 함께 하는것이 괴롭다.
온전히 침묵과 경청으로 기다리지 않음으로 충분히 사랑을 충전 받을 수 없기에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방전되었기에 얼마 대화하지 못하고 곧 대화가 끝이 나버린다.
즉 사랑이 없기에 할 말이 없는 것이다.
내 자신을 사랑할려면 내 자신을 알려면 더 말하고 더 들어야 한다.
내 자신에게 한번 더 말하라고 권면하고 조금 더 들으라고 위로하는 것이 사랑이다.
더욱 더 듣고 말하는 목적은
더 깊이 나의 내면의 세계로 잠수하라는 것이고 더 깊이 삽질을 하자는 말이다.
벽이라고 생각할 때 끝이라고 느낄 때 조금 더 힘을 내어 한 발짝 앞으로 더 나아가자는 말이다.
Say to myself "A little bit more."
더 이상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더 이상 함께 하는 것을 무서워 할 이유가 없다.
고독과 갈등을 불안해 할 원인이 없으니 기다림도 두렵지 않다.
오히려 혼자 있는 것을 기다리게 되고 함께 하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전에는 혼자 있을 때 함께 하기를 기다렸고 함께 할 때는 혼자 있기를 기다렸지만
지금은 내 현재 상황을 기대하게 되고 기다리게 되면 흥분되기 까지 한다.
Whatever comes to me, I will face it head on.
Uncertainties in the life enables me to love.
Uncertainties are simply a chance to love, and not a chance to be anxious.
혼자 있는 것은 사랑.
함께 하는 것은 사랑.
기다림은 사랑.
'불장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 for my sake (0) | 2012.10.29 |
---|---|
16 years 6 months (0) | 2012.10.27 |
Innate belief (0) | 2012.10.18 |
Anvil (0) | 2012.10.10 |
neaR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