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und of that silence customarily connected with the point is
so emphatic that it overshadows the other characteristics.
All appearances that are traditionally familiar because of their singular expression, become mute to us.
Sometimes an unusual shock is able to jolt us out of such a lifeless state into vigorous feeling.
The shocks without: sickness, accident, etc.
The shocks within: brought by human being himself and, there, find in him their appropriate foundation. This foundation consists of being able to enter the street rather than observing it.
The receptive eye and the receptive ear transform the slightest vibrations into impressive experiences.
Voices arise from all sides, and the world rings.
One makes discoveries in the everyday life,
and the erstwhile mute surroundings begin to speak a language which becomes increasingly clear.
The lifeless signs turn into living symbols and the dead is revivied.
The receptive eye and ear open the way from silence to speech. The signs -> symbols.
As we gradually tear the point out of its restricted sphere of customary influence,
its inner attributes - which were silent until now - make themselves heard more and more.
Let the point be moved out of its practical-useful situation into an impractical, that is, an illogical, position.
The point must have considerable open space around it, in order that its sound may have resonance.
As the surrounding space and the size of the point are increased, the sound of the print is reduced
and the sound of the point becomes clearer and more powerful.
Double point - print-point.
It is a balancing of two worlds which can never meet or agree.
The point has been torn out of its customary state and prepares to leap out of one world into another.
Independent being: its subordination transforms itself into an inner-purposeful one.
The point is the result of the initial collision of the tool with the material plane,
A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point change, the relative sound of the abstract point likewise is altered.
1. The relation of the size of the point to the size of the plane, and
2. The relative sizes of the point and of the other forms on this plane.
Depending on the size and form, the basic sound of the point is variable.
This variability should be understood as a relative innermost colouration of the basic inner nature,
which yet rings its pure tone.
Elements completely pure in tone which radiate a single colour do not really exist;
that even basic elements are not primitive but are a complex nature.
Concentric and eccentric.
어렸을 때는 모든 것이 새롭게 느껴지다 나이를 먹으면서
새로운 것들에 익숙해지고 그러면서 처음에 들었던 소리를 들을 더 이상 듣지 못하게 된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귀가 나빠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매일 늙는 것이 아니라 새로워 진다고 에밀리 누나는 말했다.
그 말은 우린 매일 똑같은 소리,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을 듣는 것이 아니라
하루 하루 똑같은 곳에서 새로운 소리를 듣는 것을 말한다.
나이를 먹고 지식만 더하면서 우리는 이제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더 이상 새로운 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선입견에 이끌려 침묵에게 지배받는다.
새로운 소리 듣기를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렇게 살게 내부려 두지 않으시는 하나님.
그 분은 우리에 삶속에서 충격을 주신다.
외부적이던 내부적이던.
외부적인 충격은 일시적이다.
하지만 내부적인 충격은 우리 내면에 남아 파동을 일으킨다.
이 파동은 우리 자신만이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어떤 외부적인 요소도 시작할 수 없고 오직 나 자신만이 할수 있다.
내부적인 충격은 그 동안 늙어 가고 있던 눈과 귀를 젊게 하여
새로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문을 열어 준다.
다시 말해 내가 내 자신에게 주는 충격만이 닫혔던 내 귀와 눈을 열을 수 있다.
간디가 기차역에서 있었던 것 처럼...
체게바라가 남미 여행을 했었던 것 처럼...
나 자신에게 전에는 하지 않았던 당연하게 여겨 질문할 필요을 느끼지도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질문을 내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적날하게 던지는 것이다.
내부적인 충격은 다시 말해 내 자신에게 질문하는 것이고 질문은 내 자신과 대화를 의미한다.
어렸을 때는 자연스럽게 내 자신과 대화를 했지만 늙어가면서 대화를 멈추게 되어
이제는 내 자신에게 귀머거리가 되고 그것은 내 자신이 누구인지 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베토벤이 귀머거리가 된 것도 이런 이유가 아닐까?
자신이 누구인지 계속해서 기억하고 질문을 쉬지 말고 던지라는 reminder.
To become deaf is to lose meaning and forget who I am.
질문을 할 때 나는 내 자신과 대화를 시작하고
그러면서 내 주위와 환경 그리고 상황에 대해서 새로운 각도에서 재해석하게 된다.
이것이 "들을 귀있는 자는 들을 지어다 이다."
변화는 대화이다.
same/mute
shock/ask
different/sound
'Noch N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lvation (0) | 2012.12.26 |
---|---|
사람 (0) | 2012.12.18 |
Dissection (0) | 2012.10.24 |
그림을 통해서만 말할 수 있는 사람 (0) | 2012.10.17 |
고통은 광기보다 강하다 (0) | 201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