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utiful and Brave
To know is to experience.
Farther I am from others, Closer I am to myself.
We are solitary. We may delude ourselves and act as though this were not so.
That is all. But how much better it is to realize that we are so, yes,
even to begin assuming it. We shall indeed turn dizzy then;
for all points upon which our eye has been accustomed to rest are taken from us,
there is nothing near any more and everything far is infinitely far.
나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중에 하나는 혼자 있는 것이다.
혼자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 드리는 것이고
혼자 사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사실을 시인할 때 전지하는 것 처럼 부인하면 후진 하는 것이다.
나를 알아가는 단계 중에 하나는 방어물 제거이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들이 나의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사람들의 의견을 듣지않는 것이다.
그런 것들에 너무 마음 쓰다 보면 진짜 나를 잃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나만을 생각하게 된다.
그럼 진짜 나를 만나는 것은 매우 어려워 진다.
For it is not inertia alone that is responsible for human relationships repeating themselves from case to case,
indescribably monotonous and unrenewed, it is shyness before any sort of new,
unforeseeable experience with which one does not think oneself able to cope.
But only someone who is ready for everything, who excludes,
not even the most enigmatical, will live the relation to another as something alive
and will himself draw exhaustively from his own existence.
For if we think of this existence of the individual as a larger or smaller room,
it appears evident that most people learn to know only a corner of their room,
a place by the window, a strip of floor on which they walk up and down.
Thus they have a certain security.
And yet that dangerous insecurity is so much more human which drives the prisoners in Poet's stories
to feel out the shapes of their horrible dungeons and not be strangers to the unspeakable terror of their abode.
게으름과 부끄러움은 내 인생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에 방해를 한다.
나를 알아가는데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내 새로운 면을 발견하는 것인데
이미 나는 어떤 사람이라고 정해 놓으면 오래된 편견이나 선입견 땜에
새로운 면을 발견하지 못하게 되거나 보지 못하거나
보아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내 모습이 아니라고 부인하기 까지 하게 된다.
큰 방중에서 작은 한 부분만 알고 거기서 안정감을 느끼며 살아가기 보다는
무섭고 두려워도 내가 미처 알지 못하는 부분까지 정복해 나가자.
내가 알지 못한다고 해서 내가 아닌 것은 아니다.
알지 못해도 나이고 알아도 나이다.
그럼 알고 지내는 것이 훨씬 더 좋다.
아는 곳만 가는 것이 아니라 때론 모르는 것도 한번 가보자는 말이다.
We have no reason to mistrust our world, for it is not against us.
Has it terrors, they are our terrors; has it abysses, those abysses belong to us;
are dangers at hand, we must try to love them.
And if only we arrange our life according to that principle which counsels us that
we must always hold to the difficult, then that which now still seems to us
the most alien will become what we most trust and find most faithful.
내 삶속에 눈물과 분노는 둘 다 내 것이다.
내 눈물이고 내 분노이다.
이런 것들을 받아드리고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사랑이란 인정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내 어두움을 솔직하게 받아드리는 것이다.
나의 완벽함이나 연약함을 마음으로 시인하고 입으로 고백하는 것이다.
그럴 때 나는 애벌레가 나비가 되듯이 아름답게 변신할 수 있을 것이다.